장례용품 및 절차

All Menu

장례정보

SCROLL

장례용품 및 절차

늘 가까이 있어 언제든 찾아와 그리움을 달랠 수 있는 곳! 하늘아래 가장 편안한 안식처!

현대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3일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을 행하며 습이 끝나면 바로 소령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있습니다.
염습의 과정이 2일째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됩니다.

1일차
임종 수시 발상 장례일정/방법 방법
2일차
염습 반함 입관 영좌설치 성복 문상
3일차
발인 영결식 운구 하관 성분 및 봉분 반우제

1일차

1일차
임종 수시 발상 장례일정/방법 방법
임종(臨終)
  •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운명이라고도 합니다.
수시(收屍)
  • 자택에서 하는 경우 : 수시는 친척이나 친지 중 범절에 밝은 분이 하도록 합니다.
  •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리고 팔다리를 매만져 가지런히 합니다.
  • 탈지면(솜)으로 코와 입을 막아 오수의 누출이나 미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손발이 굽어지지 않게 곧게 펴서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배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두 다리는 똑바로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습니다.
  • 머리에서 발끝까지 흰 천이나 혹은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덮는다.
  • 수시가 끝나면 병풍이나 검은색 휘장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향을 사른다. 이때는 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르지 않습니다.
  • 고인을 모신 방은 차게 하며 방을 비우지 않도록 합니다.
발상(發喪)
  • 喪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고 상례를 시작함을 말합니다.
  • 유가족은 흰색이나 검정색의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으며 귀걸이나 목걸이 등 치장을 하지 않습니다.
  • 故人에 대해 애도하고 근신하며 큰소리로 곡하는 것은 삼가합니다.
  • 자택에서 하는 경우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대문 앞에 달아 놓거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라 쓴 네모난 테두리의 종이를 대문이나 집 입구에 붙여 초상을 알립니다.)
장례일정/방법
  • 장례방법 : 가족장, 단체장, 기타 故人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 유언에 맞추어 정하고 혹은 종교적 예식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합니다.
  • 화장 및 매장 여부를 결정하고 화장일 경우 화장장의 예약관계, 매장일 경우 묘지 등을 결정합니다.
  • 부고대상 및 방법(이메일, 신문, 전화, 전보, 서신 등)을 정합니다.
  • 기타 장례식장과 장례방법 절차 등에 대해 상담 및 자문을 받는다.( 염습시간(입관), 제례절차, 장지관련(매 ·화장), 발인, 접대 식음료, 꽃 장식 ·조화주문,장례용품, 영구차예약 등 )
부고(訃告)
  • 故人과 유족의 친지나 친척, 지인,단체(회사)등에 알립니다.
  • 부고에는 장례식장 및 연락처, 장례기간(안치 ∼ 발인일)과 장지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는 각종 일간지에 무료(FAX)로 부고 발신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유골함 수습
  • 개장 후 화장장까지는 개장업체에서 운구해드리며, 봉안당이나 수목장 등 장지에 따라 적당한 유골 구매후, 화장 유골을 수습하여 장지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2일차

2일차
염습 반함 입관 영좌설치 성복 문상
염습(殮襲)
  • 염습이란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이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전통적으로는 가정에서 하는 경우에는 남자의 염은 남자가, 여자의 염은 여자가 합니다.
반함(飯含)
  • 전통적으로는 故人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이다.
입관(入棺)
  •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故人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합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운다.
  • 화장일 경우에는 棺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음.(대기 환경오염 / 화장장 규제)
영좌설치(靈座)
  • 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릅니다.
  •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 영좌의 앞에 문상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깝니다.
  •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草土)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성복(成服)
  •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합니다.
  •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으로
  • 남자의 경우
    1. 한복 : 굴건 제복 및 흰색(검정색) 바지저고리에 흰(검정)두루마리를 입고 건을 씁니다.
    2. 양복 :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맵니다.
    3.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 (지역 및 가풍에 따라 두건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4. 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 때에는 점잖은 색( 감청색 계통 )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씁니다.
  • 여자의 경우
    1.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습니다. )
    2.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더운 여름이라도 긴 소매를 입고 속이 비치지 않는 단순한 디자인의 옷을 선택하며 액세서리를 달거나 치장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4. 복인은 공히 검정색 천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리본)을 착용하는데 상복이 흰색이면 검정색, 상복이 검정색이면 흰색이 좋다. 상장(리본)대신 흰 꽃을 왼쪽 가슴에 달아도 됩니다.
    5.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문상(問喪)
  •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3일차

3일차
발인 영결식 운구 하관 성분 및 봉분 반우제
염습(殮襲)
  • 염습이란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이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통적으로는 가정에서 하는 경우에는 남자의 염은 남자가, 여자의 염은 여자가 합니다.
반함(飯含)
  • 전통적으로는 故人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입니다.
입관(入棺)
  •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故人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합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웁니다.
  • 화장일 경우에는 棺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습니다.(대기 환경오염 / 화장장 규제)
영좌설치(靈座)
  • 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릅니다.
  •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 영좌의 앞에 문상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깝니다.
  •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草土)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성복(成服)
  •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합니다.
  •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남자의 경우
    1. 한복 : 굴건 제복 및 흰색(검정색) 바지저고리에 흰(검정)두루마리를 입고 건을 씁니다.
    2. 양복 :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맵니다.
    3.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 (지역 및 가풍에 따라 두건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4. 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 때에는 점잖은 색( 감청색 계통 )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씁니다.
  • 여자의 경우
    1.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습니다. )
    2.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더운 여름이라도 긴 소매를 입고 속이 비치지 않는 단순한 디자인의 옷을 선택하며 액세서리를 달거나 치장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4. 복인은 공히 검정색 천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리본)을 착용하는데 상복이 흰색이면 검정색, 상복이 검정색이면 흰색이 좋다. 상장(리본)대신 흰 꽃을 왼쪽 가슴에 달아도 됩니다.
    5.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문상(問喪)
  •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