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정보
SCROLL장례용품 및 절차
늘 가까이 있어 언제든 찾아와 그리움을 달랠 수 있는 곳! 하늘아래 가장 편안한 안식처!
현대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3일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을 행하며 습이 끝나면 바로 소령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있습니다.
염습의 과정이 2일째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됩니다.
- 1일차
- 임종 수시 발상 장례일정/방법 방법
- 2일차
- 염습 반함 입관 영좌설치 성복 문상
- 3일차
- 발인 영결식 운구 하관 성분 및 봉분 반우제
1일차
- 1일차
- 임종 수시 발상 장례일정/방법 방법
- 임종(臨終)
-
-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운명이라고도 합니다.
- 수시(收屍)
-
- 자택에서 하는 경우 : 수시는 친척이나 친지 중 범절에 밝은 분이 하도록 합니다.
-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리고 팔다리를 매만져 가지런히 합니다.
- 탈지면(솜)으로 코와 입을 막아 오수의 누출이나 미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손발이 굽어지지 않게 곧게 펴서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배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두 다리는 똑바로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습니다.
- 머리에서 발끝까지 흰 천이나 혹은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덮는다.
- 수시가 끝나면 병풍이나 검은색 휘장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향을 사른다. 이때는 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르지 않습니다.
- 고인을 모신 방은 차게 하며 방을 비우지 않도록 합니다.
- 발상(發喪)
-
- 喪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고 상례를 시작함을 말합니다.
- 유가족은 흰색이나 검정색의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으며 귀걸이나 목걸이 등 치장을 하지 않습니다.
- 故人에 대해 애도하고 근신하며 큰소리로 곡하는 것은 삼가합니다.
- 자택에서 하는 경우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대문 앞에 달아 놓거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라 쓴 네모난 테두리의 종이를 대문이나 집 입구에 붙여 초상을 알립니다.)
- 장례일정/방법
-
- 장례방법 : 가족장, 단체장, 기타 故人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 유언에 맞추어 정하고 혹은 종교적 예식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합니다.
- 화장 및 매장 여부를 결정하고 화장일 경우 화장장의 예약관계, 매장일 경우 묘지 등을 결정합니다.
- 부고대상 및 방법(이메일, 신문, 전화, 전보, 서신 등)을 정합니다.
- 기타 장례식장과 장례방법 절차 등에 대해 상담 및 자문을 받는다.( 염습시간(입관), 제례절차, 장지관련(매 ·화장), 발인, 접대 식음료, 꽃 장식 ·조화주문,장례용품, 영구차예약 등 )
- 부고(訃告)
-
- 故人과 유족의 친지나 친척, 지인,단체(회사)등에 알립니다.
- 부고에는 장례식장 및 연락처, 장례기간(안치 ∼ 발인일)과 장지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는 각종 일간지에 무료(FAX)로 부고 발신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 유골함 수습
-
- 개장 후 화장장까지는 개장업체에서 운구해드리며, 봉안당이나 수목장 등 장지에 따라 적당한 유골 구매후, 화장 유골을 수습하여 장지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2일차
- 2일차
- 염습 반함 입관 영좌설치 성복 문상
- 염습(殮襲)
-
- 염습이란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이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전통적으로는 가정에서 하는 경우에는 남자의 염은 남자가, 여자의 염은 여자가 합니다.
- 반함(飯含)
-
- 전통적으로는 故人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이다.
- 입관(入棺)
-
-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故人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합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운다.
- 화장일 경우에는 棺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음.(대기 환경오염 / 화장장 규제)
- 영좌설치(靈座)
-
- 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릅니다.
-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 영좌의 앞에 문상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깝니다.
-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草土)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 성복(成服)
-
-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합니다.
-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으로
- 남자의 경우
- 한복 : 굴건 제복 및 흰색(검정색) 바지저고리에 흰(검정)두루마리를 입고 건을 씁니다.
- 양복 :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맵니다.
-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 (지역 및 가풍에 따라 두건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 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 때에는 점잖은 색( 감청색 계통 )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씁니다.
- 여자의 경우
-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습니다. )
-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더운 여름이라도 긴 소매를 입고 속이 비치지 않는 단순한 디자인의 옷을 선택하며 액세서리를 달거나 치장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 복인은 공히 검정색 천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리본)을 착용하는데 상복이 흰색이면 검정색, 상복이 검정색이면 흰색이 좋다. 상장(리본)대신 흰 꽃을 왼쪽 가슴에 달아도 됩니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 문상(問喪)
-
-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3일차
- 3일차
- 발인 영결식 운구 하관 성분 및 봉분 반우제
- 염습(殮襲)
-
- 염습이란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이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통적으로는 가정에서 하는 경우에는 남자의 염은 남자가, 여자의 염은 여자가 합니다.
- 반함(飯含)
-
- 전통적으로는 故人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입니다.
- 입관(入棺)
-
-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故人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합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웁니다.
- 화장일 경우에는 棺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습니다.(대기 환경오염 / 화장장 규제)
- 영좌설치(靈座)
-
- 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릅니다.
-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 영좌의 앞에 문상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깝니다.
-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草土)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 성복(成服)
-
-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합니다.
-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남자의 경우
- 한복 : 굴건 제복 및 흰색(검정색) 바지저고리에 흰(검정)두루마리를 입고 건을 씁니다.
- 양복 :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맵니다.
-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는다. (지역 및 가풍에 따라 두건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 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 때에는 점잖은 색( 감청색 계통 )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씁니다.
- 여자의 경우
-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습니다. )
-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더운 여름이라도 긴 소매를 입고 속이 비치지 않는 단순한 디자인의 옷을 선택하며 액세서리를 달거나 치장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 복인은 공히 검정색 천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리본)을 착용하는데 상복이 흰색이면 검정색, 상복이 검정색이면 흰색이 좋다. 상장(리본)대신 흰 꽃을 왼쪽 가슴에 달아도 됩니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 문상(問喪)
-
-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 1522·4443
- 개인목 · 공동목 · 개인평장
- 부부목, 부부평장
- 가족목·대가족목·특별목
- 봉안당
- 고객상담